○ 상담시간 월,화,목,금 10:00~17:00 ○ 충북 음성군 금왕읍 무극로 184-1 2층 ○ esnoh5455@hanmail.net

센터활동/발표자료

《 2022년 음성지역 노동환경 실태조사 결과 발표》

음성노동인권센터 2022. 6. 8. 13:47

2022년 음성지역 노동환경 실태조사 결과

<요약>


1. 기본 현황
사업장 규모와 업종
- 음성지역 임금노동자는 62천명.(제조업 노동자 33천명으로 53.6%를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의 도시. 서비스업 노동자 33.3% 차지)
- 평균 근속 6.4년에 불과. 1년 미만 근속자 비율 22.2%에 달해.
- 5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근속은 3.7년으로 평균 근속에 57.7%에 불과해
- 1인 자영업은 14천 명, 고용원이 있는 경우는 2천명에 불과. 음성지역 대다수 자영업자는 불안정 노동 상태와 다를 바 없어. 1인 자영업에 대한 대책 필요.
- 30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3만 명으로 48.7%에 이르고 있음.
- 음성지역 전체 비정규직 규모는 22천명. 비정규직 35.7%에 달해.
임금 격차
- 월평균 임금 280만원. 최저임금 준수하지 않은 비율 8.7%
- 4인 이하 사업장 평균임금 190만원
- 여성 노동자 219만원
- 비정규직 노동자 임금 198만원
- 학력별 임금 격차 188만원/265만원/329만원
- 사업장 규모별, 성별, 고용형태별, 학력별 임금격차가 심한 상황(저임금노동자에 대한 대책 마련 필요)
2. 실태조사
- 조사대상 : 음성지역에서 일하고 있는 노동자(215명 참여.)
조사방법 : 온라인 구글 설문, 현장 대면 조사
조사기간 : 2022. 3. 8. ~ 4. 21.

기본 사항
응답자의 81.8%는 음성지역에 거주하고 있음.
노조에 가입돼 있지 않은 노동자 86.9%
제조업 생산직 52.5%
근로조건(임금 및 근로시간)
응답자 중 50%는 기본급 외 수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코로나 이후 잔업 시간이 대폭 줄어듬.
최저임금 이하 노동자가 34.7%에 이르고 있음. 최저임금보다 15%이상 높은 임금을 받고 있는 노동자 23.5%에 불과.
거의 사용할 수 없다는 응답자가 13.3%, 회사가 지정한 날에만 사용하는 경우도 6.7%
연차 수당을 지급받지 못하고 있는 응답자 50%에 달해
초과근무수당을 지급받지 못하는 응답자 비율 44.3%

노동법상 권리 실태
근로계약서를 본 적이 없거나 서명한 경우가 24.1% 4명 중 한명은 근로계약서를 교부받지 못함.
임금명세표를 본 적이 없거나 받지 않은 경우 26명으로 12.9%
취업규칙을 본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69명으로 34%에 이름.
복지제도와 관련해 1)퇴직금, 산전 후 휴가, 시간외 수당, 육아휴직, 연차유급휴가, 건강검진, 생리휴가, 휴게실 등 8가지 제도가 모든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203) 2명에 불과 2)휴게실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 81명으로 전체 응답자에 33.2%에 이르고 있음

코로나 이후 변화
전체 응답자의 42.8%가 코로나로 인한 일터의 변화가 있다고 응답함. 가장 많은 사례가 근무시간 단축, 상여금과 수당을 기본급에 포함한 사례가 29.3%에 이르고 있음.
코로나 백신 접종 시 유급휴가 보장 받은 응답자는 40.5%. 접종하고 곧바로 일하는 경우 16.7%, 개인 연차를 사용해 접종한 경우 22.9%에 달해.
자가격리 기간 동안 유급처리 50%에 불과. 무급처리된 경우 27.4%.

산업안전 및 쉴 권리
일하다가 다친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 22.7%에 이름
일하다 다쳤음에도 자비로 치료하는 경우 13%에 이름. 산재 처리 비율은 43.5%에 불과. 공상처리 30.5%
작은 사업장의 노동안전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 응답자의 60%가 중대재해법의 전면 적용을 요구함. 지방자치단체의 예방대책 및 규제 감독 16.2%, 노동부의 별도 안전대책 19.7%
응답자 중 휴게실이 없다는 응답이 24.9%. 4명 중 1명이 일터에 쉴 공간이 없어.
휴게실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휴식시간, 눈치 안보고 쉴 수 있는 분위기, 청결/위생 순.

<음성군 노동현황>

 

기본현황 (2021년 말)

 

<1> 음성군 경제활동 인구

행정구역별 15세이상인구 (천명) 경제활동인구 (천명) 취업자 (천명) 실업자 (천명) 경제활동참가율 () 고용률 (%) 15~64세 고용률 (%) 실업률 ()
음성군 89.7 63.2 62.2 1.0 70.5 69.4 76.5 1.6

 

   
평균
근속
1년미만 규모별 고용형태
1년미만 비율 1~4 5~9 10~29 30~99 100~299 300
이상
정규직 비정규직
음성 6.4 14 22.2 3.7 5.0 5.7 6.6 9.1 8.8 7.7 3.0
자료 : 통계청, 2021년 상반기 지역별 고용조사(A) 원자료.

 

<3> 음성군 취업자 구성 (단위 천명)

  취업자 임금노동자 상용직 임시 일용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 무급가족종사자
음성군 84 62 52 6 4 2 14 6

- 상용직 55천명, 임시/일용직 12천명

- 임시일용직 비율 21.8%

- 고용원이 없는 1인 자영업자 비율 14천명.

 

<4> 취업자 대비 비중(%)

  임금노동자 상용 임시 일용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 무급가족 종사자
음성군 73.6 61.6 7 5 2.7 16.8 6.9

 

<5> 규모별 노동자 비율

구분 직장종사자규모 성별
임금노동자 1~4 5~9 10~29 30~99 100~299 300명 이상 1~4 5~9 10~29 30~99 100~299 300명 이상
빈도
(천명)
빈도(천명) % 빈도
(천명)
%
62 8 6 16 17 9 6 12.2 10.0 26.5 27.8 14.2 9.2 40 22 64.3 35.7

 

-5인 미만사업장 노동자 8천명. 12.2%

-30인 미만 사업장 노동자 3만 명으로 48.7%에 이르고 있음.

-여성노동자 비율 35.7%

 

<6> 고용형태별 현황

정규직/비정규직 정규직/비정규직
빈도(천명) %
정규직 비정규직 정규직 비정규직
40 22 64.3 35.7

 

- 비정규직 22천명 35.7%

 

<7> 산업별 종사자 규모

산업
농립
어업
광업
제조업 전기
수도업
건설업 도소매업 서비스업(도소매제외) 농립
어업
광업
제조업 전기
수도업
건설업 도소매업 서비스업(도소매제외)
빈도(천명) %
1 33 1 4 2 21 2.1 53.6 1 6.2 3.8 33.3

 

-제조업 노동자 33천명으로 53.6%를 차지하고 있는 제조업의 도시

-서비스업 노동자 33.3% 차지

 

<9> 평균임금과 최저임금 준수 여부

월평균임금 시간당임금 최저임금준수
3개월 3개월 미준수 준수 미준수 준수
평균(만원) 평균() 빈도(천명) %
280만원 15,562 5 56 8.7 91.3

-월평균 임금 280만원

-노동시간 41.5시간

 

<10> 노동시간 및 근속현황

초단시간과52시간초과자 근속 근속
초단시간 52시간초과 년 단위 1년미만
빈도(천명) % 빈도(천명) % 평균() 빈도(천명) %
1 1.7 3 4.7 6.4 14 22.2

-1년 미만 노동자 14천명 22.2%차지

-노동자평균연령 43.1

-34세 이하 31.9%, 35-5446.9%, 55세 이상 21.2%

<11> 규모별/성별/고용형태별/연령별/학력별 임금현황

최근 3개월 간 평균 급여(만원)
직장종사자규모 성별코드 정규직/비정규직 연령대3 교육정도변환코드
1~4 5~9 10~29 30~99 100~299 300명 이상 남자 여자 정규직 비정규직 34 35-54 55세이상 중졸이하 고졸 전문대졸이상
190 241 268 282 326 394 313 219 310 198 264 315 225 188 265 329

 

-음성균 노동자평균임금 280만원

-4인이하 사업장 평균임금 190만원

-여성 노동자 219만원

-비정규직 노동자 임금 198만원

-학력별 임금 격차 188만원/265만원/329만원

-사업장 규모별, 성별, 고용형태별, 학력별 임금격차가 심한 상황

 

<12> 사업장규모별/고용형태별/연령별 시간당 임금

시간당임금()
직장종사자규모 성별 정규직/비정규직 연령대 교육정도변환
1~4 5~9 10~29 30~99 100~299 300명 이상 남자 여자 정규직 비정규직 34 35-54 55세이상 중졸이하 고졸 전문대졸이상
11,195 13,453 15,354 15,081 17,869 22,535 17,138 12,663 16,984 11,734 14,290 17,413 13,367 11,395 14,417 18,329

 

-음성군 노동자 시간당 평균임금 15,562

-5인 미만 사업장 시간당 임금 11,195

-여성 12,663

-비정규직 11,734

 

<13> 규모별/성별/고용형태별/연령별/학력별 노동시간 현황

평균 근무시간수(시간)
직장종사자규모 성별 정규직/비정규직 연령대 교육정도
1~4 5~9 10~29 30~99 100~299 300명 이상 남자 여자 정규직 비정규직 34 35-54 55세이상 중졸이하 고졸 전문대졸이상
39.4 41.4 40.6 43.2 42.2 40.6 42.7 39.3 42.5 38.8 42.5 42.2 38.3 37.7 42.6 41.8

 

-음성군 노동자 평균노동시간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비정규직일수록, 여성일수록, 나이가 많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노동시간이 -작음. 이에 따른 불안정노동의 규모가 크다는 뜻이기도 함.

 

<음성지역 노동자 실태조사 결과>

 

실태조사 기간 : 202238일부터 421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 오프라인 설문 9(3/8, 3/15(2), 3/22(2), 4/5, 4/16(2), 4/21)

응답자 : 215

 

성별

성별
129
85
기타 1
합계 215

 

2. 거주지

읍면
금왕읍 52
대소면 40
맹동면 9
생극면 3
원남면 9
음성읍 42
감곡면 2
소이면 1
삼성면 10
음성외 40
208

 

 

-응답자 중 음성군에서 거주하고 있는 노동자 81.8%

 

3. 노조 가입 여부

구분
가입 181
미가입 22
기타 3
총합계 206

-노조에 가입돼 있지 않은 노동자 86.9%

-민주노총 10.7%

-한국노총 0.14%

4. 직종 (소수점 둘째자리 버림. 100%에 미치지 못할 수 있음)

구분 귀하가 하는 일은 구체적으로 어디에 해당합니까?
생산직(음료/식품) 37 17.3%
생산직(화학섬유) 24 11.2%
생산직(금속/기계전기/전자/자동차부품) 30 14.0%
사무직/영업직 45 21.0%
숙박-음식업 4 1.8%
보건_사회서비스업 20 9.3%
기타 54 25.2%
총합계 214 100%

 

-제조업 생산직 52.5%

 

5. 고용형태

 

구분
정규직(계약기간없음) 145
계약직/촉탁직 37
일용직 18
단시간근로(아르바이트) 8
자영업 7
총합계 215

-임금노동자(자영업 제외) 중 계약직/촉탁직/일용직/아르바이트 포함 비정규직 노동자는 30.2%

-정규직에 간접고용이 포함돼 있어 직접고용된 비정규직 비율만 계산됨.

 

6. 근무형태

구분 귀하의 근무형태는 어떠합니까?
교대 23
주간 187
총합계 210

 

-응답자 중 10.9%만 교대근무

 

7. 입사 경로

구분
지인소개 84
채용공고 90
직업소개 3
기타 37
총합계 214

8. 평균임금 (세전) : 2,883,004

 

9. 평균임금 (세후) : 2,522,609

 

10. 기본급 외 수당 지급 여부

구분 기본급 외에 받고있는 수당
있음 103
없음 103
총합계 206

-응답자 중 50%는 기본급 외 수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11. 잔업특근이 임금에서 차지하는 비율

구분 귀하의 월급 중 잔업특근 수당이 차지하는 비율
0~5% 49 39.2%
10~20% 49 39.2%
20~30% 9 7.2%
30% 초과 14 11.2%
기타 4 3.2%
총합계 125

 

- 코로나 이후 잔업 시간이 대폭 줄어 듬.

 

12. 최저임금 기준 임금 수준

구분 최저임금 기준으로 볼 때 귀하의 임금은?
최저임금보다 10-15%높다 85 46.7%
최저임금도 받지 못한다. 6 2.9%
딱 최저임금이다. 65 31.8%
최저임금보다 15%이상 높다. 48 23.5%
총합계 204 99.9%

-최저임금 이하 노동자가 34.7%에 이르고 있음.

-최저임금보다 15%이상 높은 임금을 받고 있는 노동자 23.5%에 불과.

 

13. 노동시간 및 휴게시간

평균노동시간 8.3시간
잔업 22.3시간
점심시간 56
점심을제외한 휴식시간 24.6
야근을할 경우 저녁시간 33

 

14. 연차 휴가

구분 연차휴가의 사용
마음대로 사용 142 67.6%
회사가 지정한 날에만 사용 14 6.7%
일부는 회사지정, 일부는 마음대로 26 12.4%
거의 사용할 수 없음. 28 13.3%
총합계 210 100%

-거의 사용할 수 없다는 응답자가 13.3%

-회사가 지정한 날에만 사용하는 경우도 6.7%

 

15. 연차 수당 지급 여부

구분 사용하지 못한 연차휴가가 남아 있을 경우
대신 수당으로 지급 받고 있는지 여부
그렇다 102
아니다 102
총합계 204

 

-지급받지 못하는 응답자 비율이 50%

 

16. 초과근무수당 지급 여부

구분 초과근무(연장근무)수당 지급여부
그렇다 113
아니다 90
총합계 203

 

-초과근무수당을 지급받지 못하는 응답자 비율 44.3%

 

17. 근로계약서 지급 여부

구분 근로계약서 지급여부
본적 없음 11 5.3%
서명만 했음 39 18.9%
교부받았음 157 75.8%
총합계 207 100%

 

-근로계약서를 본 적이 없거나 서명한 경우가 24.1% 4명 중 한명은 근로계약서를 교부받지 못함.

 

18. 임금명세표

구분 임금명세서
본 적 없음 11
받았음 176
안받았음 15
총합계 202

 

-임금명세표를 본 적이 없거나 받지 않은 경우 26명으로 12.9%

 

19. 취업규칙

구분 취업규칙
본적 없음 28
본적 있음 134
모름 41
총합계 203

-취업규칙을 본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비율이 69명으로 34%에 이름.

 

20. 복지제도

- 퇴직금, 산전 후 휴가, 시간외 수당, 육아휴직, 연차유급휴가, 건강검진, 생리휴가, 휴게실 등 8가지 제도가 모든 있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전체 응답자(203) 2명에 불과

한 가지제도만 적용되는 경우 22. 퇴직금만 응답자 전원이 적용.

건강검진도 정기적으로 받지 못했다는 응답자 67명에 달해

휴게실이 없다고 응답한 경우 81명으로 전체 응답자에 33.2%에 이르고 있음

 

21. 희망하는 복지제도

구분 [1순위] [2순위]
상여금 140 18
병가 18 33
계절휴가 12 58
통근버스 4 7
사내식당 3 8
동호회지원 2 8
식비지원 6 13
회식비지원 5 13
교육지원 7 23
탁아지원 3 7
사내 응급실 1 2
작업복세탁 2 3
샤워실 0 3
총합 203 196

 

-희망하는 복지제도 1순위는 상여금(69%) 제도, 2순위는 계절휴가(29.6%)

-1,2순위 합해서 상여금, 계절휴가, 병가 제도, 교육지원 순

 

22. 코로나 이후 일터 변화 (복수응답)

일터의 변화가 있다는 응답자 92

휴게시간 축소 5
상여금을 기본급에 포함 12
근무시간 단축 20
수당을 기본급에 포함 15
임금삭감(동결포함) 12

 

- 인원감축 사례는 없음

근무시간 단축이 가장 많고(21.7%), 수당을 기본급에 포함한 사례(16.3%)가 많음.

임금삭감(동결)12명에 달해 응답자 중 13%

상여금 또는 수당을 기본급에 포함한 사례가 전체 응답 중 27명으로 29.3%

 

23. 코로나 백신 접종에 따른 유급휴가 보장 여부

구분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유급휴가
연차를 사용해 백신접종 44 22.9%
접종하고 일함 32 16.7%
쉬는 날 접종 38 19.8%
유급휴가1 47 24.4%
유급휴가2 31 16.1%
합계 192 99.9

 

-유급휴가를 하루 이상 보장받은 응답자는 40.5%에 불과

-접종하고 바로 일한 경우도 16.7%에 달해

 

24. 자가격리 기간동안 임금

구분 자가 격리 기간 동안 임금 지급 여부
100%유급처리 73 50.0%
무급처리 40 27.4%
유급처리 됐으나 원래 받던 임금보다 부족 7 4.7%
기타 26 17.8%
총합계 146 99.9%

 

-유급처리 50%에 불과. 무급처리 된 경우도 27.4%에 이름

 

25. 일하다 다친 적이 있는 경우

구분 일하다 다친 경험
다친적 있다 48
없다 163
총합계 211

-일하다 다친 적이 있다는 응답자 22.7%에 이름

 

26. 일하다 다쳤을 경우

구분 일하다 다칠 경우 처리 방법
산재 처리 57 43.5%
공상처리 40 30.5%
공상처리 하지만 낫기 전에 출근 5 3.8%
자비로 치료 17 13.0%
기타 12 9.2%
총합계 131 100%

-산재처리 비율이 50% 채 되지 않음.

-자비로 치료한 경우 13%에 이르고 있음.

 

27. 중대재해법 인지 여부

  중대재해법을 알고 있는지
알고 있다 143
모른다 63
  206

-중대재해법을 모르고 있다는 응답자 30.5%. 노동자 3명 중 1명은 중대재해법 제정 여부 몰라.

 

28. 작은 사업장 노동안전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

구분 작은 사업장 노동안전을 위해 필요한 제도적 장치
예외없는 중대재해법 적용 122 60.1%
지방자치단체 규제와감독 33 16.2%
노동부 차원의 별도의 안전대책 40 19.7%
기타 8 3.9%
총합계 203 99.9

 

-지방자치단체의 예방대책 및 규제 감독 16.2%

-노동부의 별도 안전대책 19.7%

 

 

 

 

29. 휴게실 개수

구분 귀하의 사업장에 휴게실 개수
없다 52 24.9%
2 89 42.6%
3 68 32.5%
총합계 209 100%

 

-휴게실이 없다는 응답이 24.9%

 

30. 휴게실 요건 중 중요한 과제

구분 1순위 2순위 3순위
접근성 46 4 9
적정면적 (공간) 22 20 14
충분한 휴식시간 54 41 19
눈치 안보고 쉴 수 있는 분위기 37 46 33
노사공동운영 1 7 7
누울 수 있는 시설 9 22 22
냉난방 9 12 17
편의시설 9 26 21
청결위생 9 12 45
총합계 196 190 187

 

-1순위 충분한 휴식시간, 2순위 눈치 안보고 쉴 수 있는 분위기, 3순위 청결 위생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응답은 충분한 휴식시간’, ‘눈치 안보고 쉴 수 있는 분위기

-적정한 공간, 청결위생, 편의시설, 냉난방 등 휴게실에 대한 요구 높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