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역 행동/KBS충주라디오 등 매체 출연

[라디오] 첫 민주노총 출신 노동부장관에게 거는 기대(2025.06.24) 첫 민주노총 출신 노동부장관에게 거는 기대 지난 6월 23일, 이재명 정부의 초대 고용노동부 장관으로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임명됐습니다. 노동조합의 깃발을 들었던 활동가가 노동 정책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의 수장이 된 건 헌정사상 처음입니다. 오늘 공정사회>에서는 김영훈 장관 임명의 상징성과 그가 짊어질 무게, 그리고 앞으로의 과제까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1. 김영훈 후보자 임명, 왜 중요한가요?김영훈 장관은 민주노총 위원장을 역임한 대표적인 노동운동가입니다. 한전 비정규직 해고 문제, 비정규직 철폐 투쟁, 산재 사망 대응, 최저임금 현실화 등 굵직한 노동 이슈의 중심에서 활동해온 인물이죠. 그런데 이 인물이 이제 정부의 노동정책을 총괄하는 자리에 오른 겁니다. 단순히 인선의 차원을 넘어, 상징적 .. 더보기
[라디오] 이재명 정부, 어떤 노동정책 펼칠까(2025.06.10) 이재명 정부, 어떤 노동정책 펼칠까 지난 6월 4일 출범한 이재명 정부가 노동존중을 국정 철학으로 내세웠습니다. 특히 주 4.5일제, 포괄임금제 금지, 정년 65세 연장, ‘노란봉투법’ 재추진 등 노동계의 오랜 요청을 대거 공약으로 채택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노동정책 방향과 그 의미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겠습니다. 1. 새 정부가 ‘노동존중’을 국정 철학으로 내세웠는데요, 이전 정부랑 어떤 점이 달라졌습니까?이재명 정부는 노동자 권리와 생산성 균형에 초점을 맞춘 반면, 이전 윤석열 정부는 ‘노동 유연성’과 기업 자율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특히 주 52시간 상한 완화나 규제 완화를 강조했던 윤 대통령과 달리, 이재명 대통령은 포괄임금제 금지, 정년 연장, 노동이사제 도입 등 노동권 강화.. 더보기
[라디오] 반복되는 SPC 산재 사망 사고(2025.5.27) 반복되는 SPC 산재 사망 사고 지난 21일 새벽, 경기 시흥시 정왕동 SPC 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노동자가 기계 점검 중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SPC 그룹에서 반복되는 노동자 산재 사망 사고를 중심으로, 그 의미와 함께 우리가 놓치고 있는 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음성노동인권센터 박성우 상임활동가와 함께 합니다. (전화연결 // 인사)1. 이번 사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시죠지난 19일 새벽 3시경, SPC 삼립 시화공장에서 50대 노동자 A씨가 기계 장비에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다가 기계에 상반신이 끼여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부검 소견은 다발성 골절로 인한 사망이라고 나왔는데요. 말 그대로 온몸이 부서졌다는 뜻입니다.A씨의 동료 .. 더보기
[라디오]6·3 대선, 노동을 말하다 – 네 후보의 노동공약을 들여다보다(2025.5.14.) 6·3 대선, 노동을 말하다 – 네 후보의 노동공약을 들여다보다 6월 3일 치러질 대통령 선거가 어느덧 3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각 정당 후보들은 어제부터 선거운동에 돌입했는데요. 노동이 삶의 핵심인 만큼, 후보들이 어떤 노동 공약을 갖고 있는지는 소중한 한 표를 결정할 중요한 기준입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이번 대선 후보들의 노동 공약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음성노동인권센터 박성우 상임활동가와 함께 합니다. (전화연결.//인사)1. 먼저 주요 후보들의 노동공약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주시겠습니까네. 이번 대선 후보들은 유난히 노동과 연관된 인물들이 많습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어린 시절 학교 대신 공장을 다닌 소년공 출신이고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젊은 시절 노동운동가로 활약하며 노동부장.. 더보기
[라디오]인간사냥을 멈춰라 - 법무부 단속에 내몰리는 이주노동자들(2025.04.29) 2025년 4월 29일 화요일 ~08:56:00인간사냥을 멈춰라 - 법무부 단속에 내몰리는 이주노동자들최근 전국 각지에서 법무부의 출입국 단속으로 많은 이주노동자들이 다치고 심지어 사망하는 경우까지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반인권적인 법무부의 출입국 단속과 그로 인한 이주노동자들의 참혹한 현실을 살펴보겠습니다.. 음성노동인권센터 박성우 상임활동가와 함께 합니다. 1. 파주에서 발생한 에티오피아 노동자의 사고는 무엇을 말해주나요?지난 3월 26일, 경기도 파주의 한 공장에서 에티오피아 출신 미등록 이주노동자가 법무부 단속반을 피해 기계설비 안으로 몸을 숨겼습니다. 그러나 설비가 작동하면서 그의 오른쪽 발목이 잘려나가는 끔찍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노동자는 단순히 생계를 위해 일하던 중.. 더보기
[라디오]음성군 생활임금제, 드디어 시행되나(2025.04.15) 2025년 4월 15일 화요일 ~08:56:00음성군 생활임금제 드디어 시행되나지난 12일, 음성군이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의 복지 향상을 위해 생활임금 조례안을 마련, 입법 예고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드디어 입법예고된 음성군의 생활임금조례안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함께 놓치고 있는 쟁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음성노동인권센터 박성우 상임활동가와 함께 합니다. 1. 음성군도 마침내 생활임금제를 도입하나요?그렇습니다. 음성군이 최근 생활임금조례를 입법예고하면서, 지역사회에서도 오랫동안 요구되어 온 제도가 현실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생활임금이란 단순히 최저임금을 넘는 수준의 임금을 지급함으로써 노동자가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제도로, 지역별로 조례를 통해 시행되고 있습.. 더보기
[라디오] 고령 저소득 노동자, 누구도 주목하지 않은 노동의 사각지대 (2025.04.01) 2025년 4월 1일 화요일 ~08:56:00고령 저소득 노동자, 누구도 주목하지 않은 노동의 사각지대지난달 30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고령 저소득 노동 실태와 정책 대응> 보고서는 고령화 시대의 노동 현실을 고스란히 드러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우리 사회에서 가장 취약한 노동계층 중 하나인 고령 저소득 노동자의 삶과 정책 과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음성노동인권센터 박성우 상임활동가와 함께 합니다. 1. 이번에 발표된 보고서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주세요.네, 이번에 한국노동연구원이 발표한 고령 저소득 노동 실태와 정책 대응> 보고서는 우리 사회가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겪고 있는 노동시장 내 구조적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해법을 제시한 자료입니다.가장 핵심적인 내용은 고령.. 더보기
[라디오] 고공농성 436일, 노동자들의 절박한 외침 (2025.03.18) 2025년 3월 18일 화요일 ~08:56:00고공농성 436일, 노동자들의 절박한 외침 최근 여러 노동 현장에서 노동자들의 고공농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생존권과 노동권을 지키기 위해 고공농성이라는 극단적인 선택을 할 수밖에 없는 노동자들의 사연을 듣다 보면, 이들이 왜 이 방법을 택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절박함이 느껴지는데요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노동자들의 얘기와 그 배경, 사회적 의미에 대해 깊이 살펴보겠습니다. 음성노동인권센터 박성우 상임활동가와 함께 합니다. 1. 아직도 많은 노동 현장에서 고공농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왜 노동자들은 이 방법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을까요?고공농성은 노동자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알릴 수 있는 최후의 수단입니다. 일반적으로 노동자들은 집회나 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