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생존훈련3. 노동시간과 휴게시간 더보기 연극 <기막힌 동거>에 초대합니다. "충북문화재단 찾아가는 문화활동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극단 청년극장, 음성노동인권센터, 소극장하다가 연극 를 준비했습니다. 무료 입장입니다. 많은 분들 오셔서 연극 공연 즐기시면 좋겠습니다.^^ 2021년 11월 29일 월요일 저녁 7시 30분 소극장 하다(생극면 신양리 457-10) 문의: 010-3292-2041 더보기 음성노동인권센터 후원행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음성노동인권센터 후원행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사회적 위기 속에서 단단하게 연결되자,며 시작한 2020년이 어느덧 끝나갑니다. 위기 앞에서 더는 움츠러들지 말자는 다짐이었고, 이미 닥쳐온 위기를 개인이 홀로 감당하도록 내버려두지 말자는 호소였습니다. 불평등이 날로 심화되는 가운데, 시민사회의 고유한 영역은 허물어지고, 그 역량은 흩어지고 있는 것 같아 간절함만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저희 음성노동인권센터는 노동자, 시민의 품앗이를 기반으로 자립적으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단체입니다. 박윤준과 천윤미 두 명의 상근활동가들이 지역 노동자들과 만나 상담하며 활동하고 있습니다. 250여명의 회원들이 계시기에 힘 있는 자들의 눈치 보지 않고 꿋꿋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었습니다. 내년에도 센터 활동가들이 생.. 더보기 [라디오] 3대 안전조치 현장점검 결과 발표(2021.9.10.) KBS충주라디오, 계명산의 아침 3대 안전조치 현장점검 결과 발표 고용노동부는 지난 9월 3일, 7월과 8월에 실시한 「3대 안전조치 현장점검의 날」 점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전국 12,300여개 중소규모 제조업과 건설현장을 4차례에 걸쳐 일제점검을 한 결과 절반 이상의 사업장에서 안전조치 위반사항을 확인하였습니다. 더불어 최근 1년간 추락과 끼임 사고로 3명의 노동자가 사망한 기업의 공장장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하였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3대 안전조치 현장점검의 날」 점검 결과를 중심으로 우리 지역 노동안전 현주소에 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1. 먼저 이번에 고용노동부가 실시했던 “3대 안전조치 현장점검”내용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국내 노동자들이 사망.. 더보기 [라디오]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입법예고(2021.8.27.) KBS충주라디오, 계명산의 아침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입법예고 정부는 7월 12일부터 8월 23일까지 40일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정안을 입법예고 하였습니다. 제정안에는 중대산업재해에 있어서 직업성 질병의 범위와 경영책임자의 안전보건 확보의 의무의 구체적인 내용 등 법 시행에 있어 세부적인 사항들이 담겨져 있습니다. 제정안을 놓고 노동계와 경영계 양측의 비판이 많은데요.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령 제정안의 기본 내용과 제정안을 둘러싼 여러 쟁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올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이 국회를 통과하였고 내년 시행을 앞두고 구체적인 시행령 제정안이 나왔습니다. 먼저 중대재해처벌법이 제정된 취지와 주요 내용 설명을 부탁드립니다.중대재해처벌법은 우리 사회에 계속해서 반복되어오.. 더보기 [라디오] 충청북도 생활임금조례 시행(2021.8.13.) KBS충주라디오, 계명산의 아침 충청북도 생활임금조례 시행 지난 8월 5일, 고용노동부가 2022년 최저임금 시간급을 전년도 대비 5.1% 상승한 9,160원으로 고시하였습니다. 한편 충북도민 1만 5천명이 주민발의한 생활임금조례와 노동안전보건조례가 지난 7월 20일 충북도의회에서 통과되었습니다. 이로써 최저생계비를 바탕으로 산정하는 최저임금을 넘어서, 노동자의 안정적인 생활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생활임금”이 한 발짝 가까워졌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2022년 최저임금 고시와 함께 충청북도 생활임금 조례 시행과 관련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1. 먼저 최저임금에 관해 살펴보겠습니다. 2022년 최저임금액 인상 어떻게 보십니까? 말씀하신대로 2022년 적용 최저임금이 시급 9,160원.. 더보기 [라디오]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2년(2021.7.16.) KBS충주라디오 계명산의 아침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2년 2019년 7월 16일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시행되었고, 오늘로 시행 2년을 맞이합니다. 그러나 법 시행 이후에도 여전히 우리 사회에는 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을 호소하는 노동자들이 많고, 신고하지 못하고 참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시행 2주년을 맞아, 법 시행 이후에 확인되고 있는 변화와 남은 과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이 시행된 지 어느덧 2년입니다. 시행 초기부터 이 법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많았었는데, 어떻게 보시나요? 지난 13일 ‘직장갑질119’가 지난달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갑질 감수성 지표 및 직장 내 괴롭힘’을 주.. 더보기 [라디오] 주 52시간제 전면시행(2021.7.2.) KBS충주라디오, 계명산의 아침 주 52시간제 전면시행 2021년 7월 1일, 바로 어제부터 주 52시간제가 5인 이상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전면 시행되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주52시간제 도입 이후 연간 노동시간이 크게 줄어들고, 주 53시간 이상 취업자의 비율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그러나 중소, 영세기업 노동자의 경우 근로시간이 줄면서 동시에 임금이 큰 폭으로 감소하고 있고 주 52시간제를 피하기 위한 편법들도 등장하고 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과로사회에서 탈출하기 위한 주 52시간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오래 전부터 우리나라는 OECD 가입 국가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일하는 국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요즘 우리나라 상황은 어떻습니까?고용노동부에서 해.. 더보기 이전 1 ··· 41 42 43 44 45 46 47 ··· 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