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음성군 생활임금 조례 우리가 만들어요!! 더보기
[라디오]건설노조 탄압에 저항하다 분신 사망한 양회동 열사(2023.5.9.) 2023년 5월 9일 화요일 ~08:56:00건설노조 탄압에 저항하다 분신 사망한 양회동 열사 세계노동절인 지난 5월 1일 오전, 강원도 강릉시 춘천지법 강릉지원 앞에서 민주노총 건설노조 강원지부 간부 양회동씨가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앞두고 분신하였고 이튿날인 2일 사망하였습니다. 건설노조는 정부의 강압수사와 건폭몰이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며 총파업 상경 투쟁을 예고하였습니다. 정치권과 노동시민사회계, 법조계 등 사회 각 분야에서도 건설노조에 대한 정부의 탄압을 비판하고 대응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고 양회동 열사에 관한 소식과 건설현장 내 문제점이 무엇인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전 세계 노동자들이 투쟁과 연대의식을 다지는 세계노동절에 너무 안타까운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더보기
[기획강좌] 지역에서 노조할 권리찾기(6/1~22 매주 목, 4회) "지역에서 노조할 권리찾기" 기획강연을 엽니다. 노동조합은 노동자로서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한 투쟁의 결실이자, 필수적인 권리입니다. 노조할 권리는 헌법에서 보장하고 있는 '기본권'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음성지역에서 노동조합 활동을 하고 있는 노동자는 드뭅니다. 음성지역에 노동조합 활동이 커지고 노동자들 간의 연대가 끈끈해지기를 꿈꾸며 기획 강좌를 준비했습니다. 이번 강좌를 통해 노동조합이 우리 모두에게 한 걸음 더 가까워지길 기대합니다.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장소: 음성장애인가족지원센터 (음성 금왕읍 금석로 80, 승지빌딩 4층) ○ 문의: 043-882-5455(음성노동인권센터) *참가비 무료 1강 6/1(목) 저녁 7시 노동조합이 생기게 된 역사와 필요성 (선지현 대표_충북노동자교육공간동동) 2강.. 더보기
생활임금조례만들기 서명운동_5.5 어린이날_음성체육관 더보기
414 기후정의파업 음성참가단 이모저모 더보기
[라디오] 414 기후정의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2023.4.25.) 2023년 4월 25일 화요일 ~08:56:00 414 기후정의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 지난 4월 14일 금요일, 세종 정부청사 앞에서 열린 414 기후정의파업에 4천 여명의 노동자, 시민이 일상을 멈추고 모였습니다. 이날 집회에는 기후위기에 역행하는 정부의 정책과 기업 활동을 규탄하는 연설과 직접 행동이 있었습니다. 특히 414 기후정의파업에 여러 노동자들이 참여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414 기후정의파업에 참여한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겠습니다.414 기후정의파업 조직위원회에서 활동하시면서 집회를 준비하신 것으로 아는데, 당일 집회 현장의 분위기는 어땠나요?저희가 평일 파업 형식의 집회를 준비하면서 3천명 참여를 목표로 했는데요. 당일 4천 명 넘는 분들이 함께해서 많이 놀랐.. 더보기
[라디오]“함께 살기 위해 멈춰!” 414 기후정의파업(2023.4.11.) 2023년 4월 11일 화요일 ~08:56:00 “함께 살기 위해 멈춰!” 414 기후정의파업 이번 주 금요일 오후 2시 노동자, 시민, 청소년 등 3천 여명이 일상과 일터를 멈추고 정부청사가 있는 세종에 모여 “414 기후정의파업”이라는 이름의 집회를 벌입니다. 정부가 화석연료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계를 비롯한 자본 권력에 편에 서서 평범한 이들의 삶과 생태계를 내팽개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게 일고 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414 기후정의파업이 어떤 배경에서 기획되었는지, 그리고 어떤 요구와 대안을 내걸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요즘 기후위기는 모두가 실감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지구온난화가 심해지면서 기상 이변이 곳곳에서 관찰되고 있는데요. 최근의 기후위기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올해 봄 .. 더보기
[라디오]근로시간제도 개편안(2023.3.28.) 2023년 3월 28일 화요일 ~08:56:00 근로시간제도 개편안 정부가 지난 이달 초에 발표한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을 두고 반응이 뜨겁습니다. 이른바 MZ세대를 비롯한 미래세대를 위해 근로시간 제도를 더욱 유연하게 만들겠다는 것이 정부의 주된 방향이었지만 2-30대 노동자들로부터도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논란이 일자 정부는 기존에 발표한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안에 대한 검토를 지시하였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정부의 근로시간제도 개편안의 주된 내용과 쟁점을 살펴보겠습니다.이번에 발표한 정부의 근로시간제도 개편안 현행 주 최대 52시간제와 어떻게 다른 걸까요?현행 근로기준법은 잘 아시다시피 1일 8시간, 주 40시간을 법정근로시간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동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