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라디오>연말에 알아두어야 할 노동 상식(2020.12.4.) 연말에 알아두어야 할 노동 상식 어느덧 2020년 한 해가 끝나가고 있습니다. 연말이 되니 퇴사를 앞두고 고민에 빠진 노동자들이 많습니다. 계약 갱신이 될지, 자신의 퇴직금이 얼마가 될지, 사용하지 못한 연차수당은 어떻게 계산되는 건지 몰라 동네 노동상담소의 문을 두드리는 노동자들이 많다고 합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연말을 맞아 노동자들에게 필요한 노동법 상식을 상담사례와 함께 알아볼까 합니다. 1. 벌써 연말이 되었네요. 이맘때쯤 유독 음성노동인권센터에 많이 들어오는 상담들이 있을까요?네, 아무래도 1년 단위로 근로계약을 맺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많고, 정규직 노동자들 중에도 연말에 퇴사하는 경우들이 많다보니 퇴사와 관련된 상담들이 많습니다. 퇴직금이 어느 정도 나올지, 회사에서 계산한 퇴직금이 .. 더보기 <라디오>충북청주경실련 사고지부 결정 철회되어야(2020.11.20.) 충북청주경실련 사고지부 결정 철회되어야 경실련은 지난 11월 10일 성희롱 사건이 있었던 충북청주경실련을 사고지부로 결정했습니다. 경실련의 내부규칙에 따라 성희롱 피해자들을 포함한 상근활동가와 임원의 직책이 상실되었고, 조직의 폐쇄 또는 재건을 판단하는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하게 됩니다. 그리고 지난 17일 충북청주경실련 성희롱 사건 피해자 지지모임은 경실련을 찾아가 이번 사고지부 결정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가졌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과 관련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1. 지난 방송에서 충북청주경실련 성희롱 사건과 피해자들에게 가해진 2차 가해에 대해 다뤘었는데요. 이번 사고지부 결정 이전까지 일련의 과정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먼저 성희롱 사건 초기 대응은 어땠나요?성.. 더보기 (카드뉴스)후원기간 종료&응원댓글 더보기 (카드뉴스) 센터가 하는 활동(3) 더보기 (카드뉴스)센터가 하는 활동(2) 더보기 (카드뉴스)센터가 하는 활동(1) **후원하실 곳: 농협 351-0802-5012-33(음성노동인권센터)**후원회원이 되시려면 https://han.gl/0eUvB 더보기 <라디오>전태일 3법 입법운동(2020.11.6.) 2020년 11월 6일 금요일 전태일 3법 입법운동 지금으로부터 50년 전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를 외치며 산화한 전태일 열사를 기억하시나요? 이 전태일 열사의 외침을 ‘인간선언‘이라고 말합니다. 그렇다면 50년이 지난 지금 우리 사회의 모든 노동자들은 근로기준법의 보호를 받으며 인간답게 일하고 있을까요?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지난 9월 민주노총을 비롯한 노동단체와 시민들은 국회입법동의 청원 절차를 거쳐 국회에 회부한 중대재해기업처벌법>등 이른바 전태일 3법에 대해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먼저 국회에 회부되어 있는 전태일 3법>은 어떤 내용들인가요?전태일 3법은 말 그대로 전태일 열사의 외침을 이어받아 근로기준법이 모든 노동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도록 근로기준법 개정, 그리.. 더보기 <라디오>충북청주경실련 성희롱 사건(2020.10.23) 2020년 10월 23일 금요일 충북청주경실련 성희롱 사건 지난 11월 10일 성희롱 사건이 있었던 충북청주경실련을 경실련이 ‘사고지부’로 결정함에 따라 이에 대한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실련 내부규칙에 따르면 사고지부로 결정시 임원과 상근활등가의 직책은 자동상실 되고, 새롭게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가 지부의 존폐를 결정하는 수순을 밟게된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 충북청주경실련 성희롱 피해자 지지모임은 지난 17일 화요일 경실련을 방문해 경실련의 사고지부 결정에 대한 규탄 기자회견을 갖었습니다. 오늘 공정사회 시간에는 충북청주경실련 사고지부 결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지난 10월 23일 방송에서 충북청주경실련 성희롱 사건에 대해 이야기 나눴습니다. 최근 사고지부 결정이 나기 전까지 상황을 간략하게 소개.. 더보기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