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성노동인권센터

"음성군 생활임금조례 제정 운동"을 소개합니다! 생활임금이 뭐예요?'생활임금'은 지방정부의 차원에서 노동자의 생활안정과 교육․문화․주거 등 각 분야에서의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임금입니다. 고물가가 지속되는 정세 속에서 인간다운 삶을 충분하게 보장하지 못하고 있는 현행 최저임금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제도이기도 합니다. 생활임금조례 제정운동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충북에서는 2019년 비정규직 없는 충북만들기 운동본부에서 제정을 도의회에 촉구하였고, 2021년 주민조례청구 운동을 벌여 조례 제정을 성사시켰습니다. '음성군 생활임금조례 제정 운동'은 2022년 운동본부가 음성노동자권리찾기사업단 꿈틀 및 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에 제안함으로써 시작되었습니다.한편, 2022년 1월, 지방의회에 주민이 직접 조례 제정을 청구할.. 더보기
[꿈틀 성명] 주민조례청구제도 활성화에 앞장서겠다면, 주민이 발의한 음성군생활임금조례 제정에 즉각 나서라! 주민조례청구제도 활성화에 앞장서겠다면, 주민이 발의한 음성군생활임금조례 제정에 즉각 나서라!  음성군의회는 오늘(2/6, 목)자 보도자료 “음성군의회, 주민조례청구제도 활성화에 앞장선다”를 내며 홍보에 적극 나서겠다고 발표했다. 보도자료에서 김영호 의장은 “주민조례청구제도는 주민들이 직접 자치입법에 참여해 지역 사회를 이끌어갈 수 있는 중요한 제도”라고 강조하기도 하였다. 음성군의회 앞서 음성군의회는 2023년, 음성군에서 최초로 주민 2,356명이 발의한 에 대하여 발의 주민들과 협의를 거치지 않고 일방적으로 수정하였다. 2024년 7월 임시회에서는 군의원 8명 전원이 연서하여 발의한 수정안에 대하여 의원 4명이 반대하여 조례안을 부결시키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같은 사상초유의 사태.. 더보기
열 살이 된 음성노동인권센터, 여러분이 앞으로의 날들을 채워주세요 음성노동인권센터 회원 여러분, 어느덧 2025년을 맞이한 지도 한 달이 넘었습니다. 유난히 음성에 눈이 많이 내린 이번 설 명절 연휴는 어떻게 무탈히 잘 보내셨는지 모르겠습니다.지난 2024년 한 해에는 센터 사무실에 처음으로 세 명의 상임활동가가 상주했습니다. 세 명의 활동가들이 지난 한 해 동안 힘쓴 음성노동인권센터의 활동은 아래 링크에 정리했습니다. 활동가들이 각 부문 별로 자체 평가도 남겼으니 꼭 읽어봐주시길 바랍니다.   >>> 링크: bit.ly/2024음성노동인권센터활동보고및평가 한편 2015년 3월 3일 개소한 음성노동인권센터는 이제 곧 만 나이로 어엿한 열 살이 됩니다. 모두 회원 여러분의 관심과 후원덕분입니다. 지난 10년 동안의 활동 중 주요 활동 열 가지를 아래 링크에 꼽아보았습니다.. 더보기
2024년 음성노동인권센터 활동 보고 및 평가 가. 상담, 법률 및 조정 지원 활동월, 화, 목, 금 10:00~17:00 무료 상담 및 법률 지원 활동을 벌였고, 사안에 따라 주말 상담이 이루어지기도 하였습니다.2024년 한 해 동안 총 250건의 상담이 이뤄졌습니다.세부주제별로는 임금 101건(40.4%), 근로시간 2건(0.8%), 휴가 1건(0.4%), 징계 및 해고 35건(14%), 모성보호 및 여성 3건(1.2%), 근로계약 10건(4%), 산업안전 및 산업재해 10건(4%), 고용보험 등 18건(7.2%), 노동조합 0건(0%), 직장 내 괴롭힘 18건(7.2%), 비정규직 7건(2.8%), 기타 45건(18%) 이었습니다.진정서, 고소/고발장, 근로감독청원서 및 이유서, 부당해고 구제신청서 및 이유서, 산업재해 요양급여신청 및 재해발생.. 더보기
음성노동센터 10년(2015~2024) 주요 활동 10選 음성노동인권센터가 어느새 1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음성노동인권센터가 실시한 주요 활동 열 가지를 꼽아보았습니다!1. 직업소개소 불법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토론회(2016년)2016년 10월, 노동인권센터와 이상정 군의원이 토론회를 공동 주최하였습니다. 음성지역에서 만성화되어 있는 직업소개소의 불법적인 운영 실태를 지역사회에 폭로한 ‘사건’이었습니다. 노동인권센터는 상당수의 직업소개소들이 당시 법정 소개요금의 범위인 임금의 4% 이하를 훨씬 넘어선 임금의 10~20% 이상을 일용직노동자들로부터 징수하고 있는 실태를 발표했습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음성군의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사업주 대상 교육이 필요하다는 개선 방안이 나왔습니다. 2.금왕하수처리장 무단 방류 내부 고발(2016년)당시.. 더보기
10주년 기념 행사 및 제11차 회원정기총회 개최 알림 센터 개소 10주년 기념 행사 및 총회에 회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2015년 3월, 노동인권의 불모지였던 음성군에서 우리는 음성노동인권센터의 시작을 알렸습니다.기댈 곳 없는 지역 노동자들이 비용 부담 없이 노동 상담과 권리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시작한 이 일이 어느덧 올해로 10년이 되었습니다. 10년 동안 2,932 건의 상담이 있었고, 384 건의 법률 지원을 하였습니다. 같은 기간 동안 우리는 수 천 명이 넘는 노동자들을 만나 숫자로 헤아릴 수 없는 지역 노동 현장의 모습들을 듣고, 알게 되었습니다.갑작스런 가족의 죽음을 마주하게 된 유가족, 직장 내 괴롭힘과 성희롱으로 고통 받는 노동자들, 해고를 당하는 과정에서 존엄과 자존심을 짓밟혀 분노하는 사람들,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여성이라는 이유로, .. 더보기
<직업소개소 다니는 일용직 노동자 권리 찾기 가이드> 출간 국민에게 일자리를 보장하는 것은 헌법에서 명시된 국가의 책무입니다.지역마다 고용복지플러스센터가 있고, 취업 관련 행사가 열리지만 우리 사회에는 국적, 체류 자격, 나이, 신용, 장애 등이 취업에 적합하지 않다는 이유로 고용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이들도 있습니다.이렇게 공식적인 경로로 일을 구하기 어려운 이들이 찾아가는 곳이 있습니다.흔히 'OO인력'이라는 상호를 달고 있는 '직업소개소'입니다. 이들에게 직업소개소는 먹고 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통로입니다.하지만 직업소개소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위법, 탈법적인 소개요금 징수와 불법파견은 이들을 더욱 궁지로 내몰고 있습니다.는 2024년 기준 1만 명으로 추산되는 음성지역 일용직 노동자, 특히 직업소개소를 다니는 분들의 권리를 찾.. 더보기
[라디오] 생활임금조례 부결에 항의한 시민들 고소한 음성군의회 (2024.12.31) 2024년 12월 31일 화요일 ~08:56:00 생활임금조례 부결에 항의한 시민들 고소한 음성군의회 음성군 생활임금조례 부결 사태의 반향이 오래가고 있습니다. 음성군의회가 7월 22일 당시 생활임금조례 부결에 대한 책임을 묻고자 항의한 노동자, 농민, 시민사회단체 관계자들을 업무방해죄 등의 죄목으로 고소한 사실이 최근 확인되어 지역 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소식 음성노동인권센터 박윤준 상담실장님과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1. 먼저 음성군 생활임금조례 부결 사태, 어떤 일들이었는지 소개 부탁드립니다.음성군 생활임금조례안은 주민발안제를 통해서 만든 주민조례안입니다. 2,356명의 지역 주민들이 청구인이 되어서 음성군의회에 작년 9월 정식으로 수리되었습니다. 주민 조례는 의회에 수리된 날부터 1.. 더보기